The Sho-saiko-to Event

A Cautionary Tale in Herbal Medicine

The story of Sho-saiko-to serves as a critical lesson on the intersection of traditional herbalism and modern medicine. It highlights how applying an ancient remedy based solely on a modern biomedical diagnosis, without its traditional diagnostic framework, can lead to severe and unintended consequences.

Herbal ingredients for Sho-saiko-to

Japansese illustration of indications for Xiao Chai Hu Tang

The Rise of a Popular Remedy

Sho-saiko-to, a cornerstone formula in Japanese Kampo medicine, is known by various names across Asia:

  • China: Xiao-Chai-Hu-Tang (小柴胡湯)
  • Korea: Sosihotang (소시호탕)
  • Hong Kong: Siu-caai-wu-tong

In Japan, where traditional Kampo medicine is prescribed exclusively by medical doctors, Sho-saiko-to gained significant traction. This difference in focus is clearly visible in academic output compared to China, as shown in a PubMed search from February 2025:

PubMed Search Results (Feb 2025)

116
44
JapanChina

"shosaikoto" vs "xiaochaihutang"

167
53
JapanChina

"sho saiko to" vs "xiao chai hu tang"

Fueled by this interest, numerous clinical trials showed its potential to protect against the develop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cirrhosis and improve overall liver function. Based on this promising research, the Japanes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ficially approved Sho-saiko-to in 1994 for enhancing liver health, adding it to the national formulary. This endorsement led to its widespread use for all types of hepatitis and liver cirrhosis.

At its peak, an estimated 1.5 million hepatitis patients in Japan were being treated long-term with this traditional formula.

The 1996 Crisis: The "Sho-saiko-to Event"

The widespread, long-term prescription of the formula soon revealed a dark side. In March 1996, a major health crisis emerged and was quickly brought to light by the media.

It was reported that 88 hepatitis patients had developed severe interstitial pneumonitis after taking Sho-saiko-to. Tragically, 10 of these patients died from acute respiratory failure. This incident became known as the "Sho-saiko-to Event" and prompted urgent action and information dissemination by Japanese health authorities.

The Diagnostic Nuance: Why Did It Happen?

The core issue was a fundamental mismatch in application. The formula was prescribed based on the Western diagnosis of "hepatiti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Asian medicine framework of pattern differentiation (syndrome differentiation). Sho-saiko-to is not for all liver conditions; it is specifically for a Ban Biao Ban Li (半表半裏), or "half-exterior, half-interior," pattern.

Formulaic and Diagnostic Clues

Traditional texts offer specific clues for using this formula, which were largely overlooked during its widespread prescription:

  • Ginseng (Ren Shen): The original formula by Zhang Zhongjing used milder Chinese ginseng to harmonize the "Middle Jiao" (digestive center). Later modifications using stronger, warmer Korean ginseng may have contributed to heat-related issues.
  • Tongue Coating: The classic indication is a thin white tongue coating. However, a thin yellow coating can also be appropriate, as it indicates the pathogen is still in the "half-exterior, half-interior" stage.
  • Pulse: While not a rigid rule, the pulse can be rapid.

A Tale of Two Interpretations: Japan vs. China

The understanding and use of the formula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Japan and China, which leads to different clinical approaches.

China's Interpretation

They used the prescription following the traditional concepts of Ban Biao Ban Li or Harmonization. This led to an application focused on traditional pattern diagnosis.

Japan's Interpretation

They used the prescription following Western medical concepts like hepatitis, cirrhosis, or liver function recovery. This led to the neglect of the basic principles of TCM, Li-Fa-Fang-Yao.

The Enduring Lesson

The Sho-saiko-to event is not an indictment of the formula itself, but a powerful reminder that traditional medicines require their corresponding traditional diagnostic systems. Their efficacy and safety are tied to precise pattern differentiation, not broad biomedical disease labels. While Sho-saiko-to holds significant therapeutic potential, this crisis underscores the critical importance of careful diagnosis and patient monitoring to ensure safety.

소시호탕 사건

한약 사용에 대한 경고적 실화

소시호탕(Sho-saiko-to)의 이야기는 전통 한의학과 현대 의학의 교차점에서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이 사건은 전통적인 진단 체계 없이 현대 생의학적 진단에만 의존하여 고대 처방을 적용할 경우, 심각하고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소시호탕 한약재

유명 처방의 부상

일본 캄포 의학의 핵심 처방인 소시호탕은 아시아 전역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중국: 소시호탕 (小柴胡湯, Xiao-Chai-Hu-Tang)
  • 한국: 소시호탕 (Sosihotang)
  • 홍콩: Siu-caai-wu-tong

전통 캄포 의학이 의사에 의해서만 처방되는 일본에서 소시호탕은 상당한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관심의 차이는 중국과 비교했을 때 학술 결과물에서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2025년 2월 기준 PubMed 검색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PubMed 검색 결과 (2025년 2월)

116
44
일본중국

"shosaikoto" vs "xiaochaihutang"

167
53
일본중국

"sho saiko to" vs "xiao chai hu tang"

이러한 관심을 바탕으로 수많은 임상 시험에서 간경변 환자의 간세포암 발생을 예방하고 전반적인 간 기능을 개선하는 잠재력이 입증되었습니다. 이 유망한 연구를 바탕으로 1994년 일본 후생성은 간 건강 증진을 위해 소시호탕을 공식 승인하고 국가 처방집에 포함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모든 유형의 간염 및 간경변 치료에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최전성기에는 일본에서 약 150만 명의 간염 환자가 이 전통 처방으로 장기 치료를 받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1996년의 비극: "소시호탕 사건"

이 처방의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사용은 곧 어두운 면을 드러냈습니다. 1996년 3월, 중대한 보건 위기가 발생했고 언론을 통해 빠르게 알려졌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88명의 간염 환자가 소시호탕 복용 후 심각한 간질성 폐렴을 앓게 되었습니다. 비극적으로 이 중 10명의 환자가 급성 호흡 부전으로 사망했습니다. 이 사건은 "소시호탕 사건"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일본 보건 당국의 긴급 조치와 정보 전파를 촉발했습니다.

진단의 미묘함: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핵심 문제는 근본적인 적용의 불일치였습니다. 이 처방은 전통적인 한의학의 변증(辨證) 체계가 아닌, "간염"이라는 서양 의학적 진단에 근거하여 처방되었습니다. 소시호탕은 모든 간 질환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반표반리(半表半裏)증이라는 특정 패턴에 사용됩니다.

처방 및 진단의 단서

전통 문헌은 이 처방을 사용할 때의 구체적인 단서를 제공하지만, 광범위한 처방 과정에서 대부분 간과되었습니다.

  • 인삼: 장중경의 원방에서는 중초(소화 중심)를 조화시키기 위해 더 온화한 중국 인삼을 사용했습니다. 더 강하고 따뜻한 성질의 고려인삼을 사용한 후대 수정은 열 관련 문제를 유발했을 수 있습니다.
  • 설태: 고전적인 지표는 얇은 백태입니다. 그러나 얇은 황태 또한 병사가 여전히 반표반리 단계에 있음을 나타내므로 적절할 수 있습니다.
  • 맥박: 엄격한 규칙은 아니지만, 맥이 빠를 수 있습니다.

두 가지 해석: 일본 대 중국

처방에 대한 이해와 사용은 일본과 중국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이는 다른 임상 접근 방식으로 이어집니다.

중국의 해석

전통적인 반표반리, 혹은 화해의 개념을 좇아 처방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한방적인 패턴 진단에 중점을 둔 적용으로 이어졌습니다.

일본의 해석

간염, 간경화 혹은 간기능회복이라는 서양의학적 개념을 좇아 처방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한방의 기본원리, 이법방약의 무시로 이어졌습니다.